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지엠의 미래, 어떻게 지킬 수 있을까?

by tgvision 2025. 9. 20.

한국지엠이 앞으로 한국에서 계속 차를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 전환과 함께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한국지엠도 경쟁력을 유지하지 못하면 철수 가능성이 거론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지엠은 어떤 방법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철수를 막을 수 있을까요?

 

한국지엠의 미래, 어떻게 지킬 수 있을까?
한국지엠의 미래, 어떻게 지킬 수 있을까?

새로운 전기차 모델 개발 참여 확대

첫 번째 방법은 한국 연구소와 공장이 본사의 전기차 전략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맡는 것입니다. 지금은 한국에서 직접 독자적으로 신차를 기획하기는 어렵지만, 본사가 추진하는 글로벌 전기차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연구소가 아시아 시장에 맞는 전기차 사양을 개발하거나, 한국 공장이 일부 전기차 모델의 생산 거점이 된다면 철수 이유가 줄어듭니다. 실제로 한국은 전기차 배터리 기술이 발달해 있어 본사와 협력할 여지가 큽니다. 이런 기술적 강점을 살려 “한국 공장은 꼭 필요하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수 시장에서 브랜드 경쟁력 강화

두 번째 방법은 한국에서 한국지엠 차량의 판매를 늘리는 것입니다. 지금 한국지엠은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지 않습니다. 차가 많이 팔리지 않으면 공장을 유지할 명분도 약해집니다.

따라서 한국지엠은 단순히 수출에만 의존하지 말고, 한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차종을 내놓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 SUV나 소형 전기차처럼 한국에서 인기가 많은 차급을 출시해 판매를 확대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 품질 개선과 서비스 강화로 고객 신뢰를 회복한다면 내수 판매도 안정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수출 경쟁력 회복과 생산 다변화

세 번째 방법은 수출 경쟁력을 회복하고 특정 국가에 의존하지 않는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 현재 한국지엠은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이 많지만, 최근 관세가 높아지면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럴 때는 새로운 수출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남아시아, 중남미, 중동 같은 신흥 시장은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모두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한국 공장이 이런 시장에 맞는 모델을 생산한다면 특정 국가에만 의존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본사와 협력해 일부 차종의 글로벌 생산 허브 역할을 맡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지엠이 살아남는 길

 

정리하자면, 한국지엠이 철수를 막기 위해서는 단순히 공장을 지켜달라는 요구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전기차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역할을 확보하고, 내수 판매를 늘리며, 수출 시장을 다변화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본사도 한국 공장을 쉽게 줄일 수 없게 됩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한국지엠은 앞으로 전기차 전환이라는 큰 변화 속에서 스스로 경쟁력을 증명해야 합니다. 전기차 기술, 내수 시장 확대, 수출 전략 다변화라는 세 가지 방향이 잘 추진된다면 한국 공장은 충분히 미래를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